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중학교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사회적 지지는 공적 지지와 개인적 지지로 분류하여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중국 B시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직 교사 208명(여자105명, 남자103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척도, 직무만족도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행하였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개인적 지지, 공적 지지)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와 개인적 지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개인적 지지는 자아탄려성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다. 둘째, 공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와 공적 지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공적 지지는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hen the resilience of Chinese middle school teachers affects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was classified into public and personal support, and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resilience scale , job satisfaction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5.0.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personal support, public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support, self-resil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ersonal support, and pers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support,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ublic support, and public suppor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