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935.jpg
학술저널

전력분야 미세먼지 배출과 저감계획

Fine Particle Emissions and Reduction Plan in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 89

미세먼지 문제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환경문제 중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 중 하나로 이를 위해 정부 및 산업계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국내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되고 있는 화력발전소들에 대한 미세먼지 배출 저감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발전분야에서는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발전효율 향상 및 환경설비 개선과 같은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시행 중에 있다. 오염물질 제어 전략 수립 및 배출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서는 발전소 굴뚝에서의 미세먼지 직접 배출량이 정확히 산정되어야 하나, 현재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항목에 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발전소에서는 총먼지(TSP)만을 측정하고 관리하고 있으며 미세먼지는 간헐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발전소 전수를 포함한 총 74기의 화력발전소를 대상으로 굴뚝에서 실제 배출되는 1차 미세먼지(PM10, PM2.5)의 질량농도를 측정하고 배출량을 평가하였으며, 보일러 형식, 사용 연료, 가동년수 및 발전부하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특성과 미세먼지 성분분석 결과 및 발전소 주변지역 환경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평가와 지역별 오염물질 확산영향평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석탄 및 중유화력발전소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총먼지의 배출농도는 약 3 mg/m3 수준의 저농도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의 1/2 이하로 관리되고 있으며, 석탄화력 배출 초미세먼지(PM2.5) 중 1차 배출량은 약 11%로, 2차 미세먼지 전구물질의 대기중에서의 전환을 고려하여 발전소 배출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신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