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행의 이사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actice of Buddhism on Parenting Satisfaction

동양종교인 불교는 관념적 사고에 의존하기보다 직접 수행을 강조하는 신앙체제를 갖는다. 즉 이같이 실천적 수행으로서의 신행을 강조하는 종교적 특성을 갖고 있는 불교이지만 종교사상에 대한 관념적 이해가 따르지 않는 수행은 없다는 점에서 신행(信行)안에 분명이 이(理)적인 요소가 존재한다고 볼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이(理)란 이론적사상적 이치(理致)이며 사(事)란 구체적 행동으로서의 사상(事相)을 의미한다. 더욱이 불교에서 이(理)와 사(事)는 깨달음을 위한 두 가지 큰 축으로 강조되고 있다. 즉 이와 사를 통한 적극적 신행으로서 각 개인은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강화시킬 것이고, 강화된 종교적 신념은 다시 자신들의 적극적인 수행으로 발전되게 된다. 이러한 맥락상에서 신행 안에서의 이와 사는 불리(不離) 불가분의 상호의존적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기초해 불교에서는 실천적 수행을 통해 깨달음이라는 완전한 이해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고 본다. 더욱이 불교는 전통문화의 근간이며 그 핵심이다. 그러므로 특별히 자신을 불자라고 규정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우리사회의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어느 정도 불교사상으로 교육되어져있다. 또한 불자라 하더라도 실천적 수행의 의미인 신행 활동과 불교사상에 대한 이해의 정도는 다르게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개인의 불교적 신행이 각자의 심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신행에서의 이사(理事)라는 요소가 각각 규명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불교 신행 안에서의 이(理)와 사(事)라는 두요소를 불교사상이해도와 신행 활동으로 각각 정의하여 파악하고자 한다.본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선적으로 바람직한 유아의 성장발달을 조력하기 위해 유아교육학적 연구영역을 종교영역으로 보다 확장시키는 의미가 있다. 둘째, 유아기 부모들에 대한 종교교육학적 관점에서의 불교의 실천성과 합리성을 규명하고자하는 의미를 갖는다. 셋째, 불교 신행의 구성 요소를 이와 사로 구분하여 부모역할만족도와 연계하여 파악하고자 한 점은 종교 생활의 건강성과 종교인의 충실성을 규명하고자하는 의미가 있다. 넷째, 종교학의 연구 분야인 불교 신행을 개인의 심리적 가치관과 연계하여 사회과학적 조사방법으로 실증적으로 규명코자하는 의미가 있다.본 연구에서의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어머니들의 불자여부에 따른 불교사상이해도와 신행생활 및 부모역할만족도는 각각 어떠한가?둘째. 어머니들의 불교사상이해도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는 어떠한가?셋째. 어머니들의 신행생활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들의 불교사상이해도와 신행생활 및 부모역할만족도간의 관계에서는 불교사상이해도와 신행생활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r= ,65 P<.001)이, 신행생활과 부모역할만족도간에서 정적상관(r=.l4, p<.01)이 각각 나타났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