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개신교 종립학교의 종교교과서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Religious Textbooksof Christian Middle Schools

  • 11

본 논문은 기독교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교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개신교 종립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종교교육과정에 관한 분석과 제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학교연맹에서 발행된 종교교과서를 분석하는데 체계성과 효율성, 정치성의 맥락에서 분석한다.분석결과 종교교과서가 제 7차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교양과목으로서의 내용의 선정과 조직측면에서 체계구성은 이루어져 있으나 효율성의 맥락에서 볼 때 학습자의 발달적 과제와 다문화적, 다종교적 상황을 좀 더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고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종교교과서 성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재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첫째, 교과서 목표서술에 있어서 학습자의 요구와 필요가 반영되어 구체적 행동결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목표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차원으로 서술되어야 하며 둘째,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시 다문화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하며, 학습자들의 학습가능성을 돕기 위한 해석적 언어가 사용되어야 하고, 교육내용의 잠재적 가치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문화적, 사회적, 종교적 편견들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교수-학습과정에서는 정보화 시대의 학습자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매체가 사용될 필요가 있으며, 교사들을 위한 교수지원이 정책적 차원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교과서 개정을 위한 교육과정위원회의 활동이 연속적이고도 연합적 차원에서 이루어 질 필요가 있으며, 합리적이고도 지속적인 평가 제도를 통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교육의 결과를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hristian school education in Korea from an analysis on religious textbooks of christian middle schools. The religious textbooks for christian middle schools are analys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traditionalist approach, conceptual-empiricist approach and reconceptualist approach. Suggestions below are derived from the religious textbook analysis of christian middle schools. Religious textbooks used in christian middle schools are focused on the transmission of educational content without providing specific objectives or concrete criteria for evaluation of the objectives. Furthermore, one can find from the religious textbooks used in christian middle schools that most curriculums are not concerned with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 In this respect, First, the religious textbooks of christian middle schools need to be chosen on the basis of the ‘effectiveness’ and concreteness of the curriculum through a process of feedback, to be constructed for maturity and growth of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dimensions. Second, professionals in constructing religious textbooks of christian middle schools need to be trained and cooperate in order to reconstruct and develop religious textbooks in the area of youth context and information society context. Third, Religious textbooks of christian middle schools need to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onceptualist approach,-in other words, critical reflection -to find non-Christian hidden values and to eliminate them. Fourth, a formal system of evalu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religious textbooks for christian middle schools, which considers the needs in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Ⅰ. 들어가는 말

Ⅱ. 기독교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접근 유형

Ⅲ. 개신교 종립학교 종교교과서 현황

Ⅳ. 개신교 종립학교 종교교과서 분석: 중학교 종교교과서를 중심으로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