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육에 있어서 신체지각과 미적(美的) 체험의 중요성

Perception of Body and Esthetic Education: Attaching Importance to M. Heidegger and Buddhism

  • 19

우리는 몸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형성하고 몸은 신체화된 마음이기 때문에 몸의 지각적 내용에 교육의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곧 미적 교육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몸은 생물학적 몸이 아니라 존재를 지각하는 실존의 주체로서 몸을 말한다. 따라서 미적 교육은 심신일여로서의 몸 이해에 기초하여 몸의 지각을 통해 형성하는 감정구조를 미적 체험으로 정화해 가는 것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미적 교육이란 분별을 떠난 미적 체험을 통해 지각적 감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흔히 예술지상주의자들은 “예술을 위한 예술”을 말하고 탈가치적인 예술로서 보편성과 거리를 두지만 이미 예술은 세상에 구속되어 있고 세상을 드러내는 사회문화적인 것이며, 궁극성과 완전성을 지향하는 가치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즉 미적 체험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고 미적 태도 여하는 인격·도덕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인간 자신을 정화하고 질적인 비약을 낳는 가치로운 쾌감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에서 미적 체험을 강조하는 것은 하이데거의 표현을 빌리면 미적 체험과 표현 가운데 자신의 본래성이 드러나기 때문이고, 불교적으로 표현하면 미적 체험을 통해 세계의 실상이 깨달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하이데거가 갖는 존재론적 인식과 불교 수행 속에서의 신체지각과 미적 체험이 갖는 위치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대교육에서 소외되어 온 몸의 지각과 미적 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Esthetic education is not to provide a basis for reason or not to sensible education for the sake of reason in dualism of separating body and mind but emphasis to body s subject as the integration of body and mind. Through body, we form the world and ourself. Because the body is embodied mind and we have to concern the education of body s perception. Esthetic education is emphasized by this context. M. Heidegger notes that our true Self is expressed by esthetic experience as language art, empathy of unifying subject and object, unease, nothingness, and so forth. On the other hand esthetic education of Buddhism is to restore the oneness of mind. Oneness mind is an integration of the individual as a whole: subject and object, mind and body. It is wrong to separate mind from body and regard the mind as more important, because every true consciousness comes from body. The World (environment) is not an “other” to us, nor is it a collection of things that we encounter. Rather, it is the whole of our being, the locus of our existence and identity, we cannot, and do not, exist apart from it. It is through the experience of oneness in subject and object that we understand ourselves as holistic Being. An integrative embodied mind is universal spirituality, described as big (holistic) mind.

Ⅰ. 서론

Ⅱ. 근대성에 기초한 현대교육과 소외된 몸 , 소외된 미적 교육

Ⅲ. 하이데거의 현상학에 있어서 몸과 미적 체험

Ⅳ. 불교에 있어서 몸 과 미적 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