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불교 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The Task and Vision in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 30

이 글은 불교교육학의 정체성 논의에 입각해서 불교교육학 연구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과제와 전망을 탐색하는 목적이 있다. 먼저 이 글에서는 불교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은 궁극적으로 불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의 기반위에서 언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불교교육학의 정체성의 문제를 학문적(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다루어 나가고자 하였다. 불교교육학의 학문적(연구의) 특수성은 불교교육학 연구가 여타의 교육학 하위연구 분야와 차별성과 독자성을 갖는 측면으로서, 불교가 그 중핵적 기반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서 학문적(연구의) 보편성은 불교교육학 연구가 일반교육학적 인식범주에서 인정되고 이해될 수 있는 측면에서 언급되었다. 이 글에서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계를 불교교육학이 학문적(연구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대립적 요소가 아닌 균형과 조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불교교육학의 연구지향점은 이러한 학문적(연구의)정체성의 기반위에서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불교 교육학의 연구지향점을 연구주제와 내용의 측면과 연구체제와 방법론 이라고 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다루어나가고자 하였다. 불교교육학 연구의 지향점의 두 측면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도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를 중요한 화두로 하여 논의를 진행시키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학문적(연구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의 조화가 불교교육학 연구의 발전을 기할 수 있는 핵심요소로 보고, 이러한 토대위에서 불교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about the task and vision in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In the aspects of identity,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have the double phases which can function to mad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as a typical studies. The first phase in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identity lies on the Buddhism which have the Buddhist wisdoms and doctrines. The second phase in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identity lies on the science of education as a objective studies. And so, the pursuit for balance and harmony between double phases which made identity directly means to accomplish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In order to get orientation of research areas in the science of education, we have to study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s identity based on double phases. In this article the research areas which are composed of research theme & contents and research frame & methodology were categorized by the discussion of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s identity. Like the part of discussion about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s identity, the research theme contents and research frame and methodology need to pursuit th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double phases: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Finally, based on the foregoing discussion, the task and vision which seem to encourage development in the science of Buddhist education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불교 교육학의 정체성 탐색

Ⅲ. 불교 교육학 연구의 지향점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