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적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ild Safeguarding Policy Experience in Community Child Centers
- 이민영(Lee, Min Young) 윤민화(Yun, Minhwa) 김유나(Kim, Yuna) 김혜정(Kim, HaeJung)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한국사회복지교육
- 제55집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9
- 101 - 140 (40 pages)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안전보호정책을 적용하면서 겪은 경험과 변화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S 기관의 아동안전보호정책인 「아동에게 안전한 기관 만들기」 사업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총 20명의 아동, 보호자, 종사자, 기관장을 포커스그룹 인 터뷰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에게 안전한 기관 만들기 사업」은 지역아동센터의 안과 밖의 위험요소를 점검하면서, 일상에서 안전을 확인하고 아동이 안전주체가 되도록 하며, 아동의 입장에서 안전한 환경의 기본을 갖추며 지역사회도 함께하도록 하는 과정이었다.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도 아동은 책임있는 주체로서, 보호자는 아동눈높이에서 소통하며, 종사자는 안 전에 민감하게 약속을 실천하고, 센터는 안전한 환경과 문화를 만들어가는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안전보호정책의 의미를 다각적 시각에서 살 펴보면서, 기관차원의 통합적 아동안전보호정책이 아동안전 인식과 실천, 안전문화를 형성 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됨을 밝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에게 안전한 지역아동센터를 만들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changes th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applying the child safeguarding policies, especially S organization’s program 「Creating a safe organization for children」. To this end, qualitativ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20 people, including children, parents, social workers, and dire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 safeguarding policy was a routine and proactive approach, in which children participated independently in the sufficient safe environment and the community cooperatively guarded its safety obligations. Although there were practical restrictions to implement, children became responsible for their safety, parents communicated from the child s point of view, and social workers kept promising safety behaviour. The organization has shown positive changes in creating a safety culture with the communit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developing comprehensive safeguarding policies may promote a safe community child center.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