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수행과정 공유를 통한 종교 간의 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rreligious Communication Through Sharing Ascetic Practices

  • 12

오늘의 종교교육의 문제점은 학교형 교육 패러다임(paradigm)을 따르는 것이다. 종교교육 목적은 단순히 이해하여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깨닫고 행동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종교교육에서는 학교형 교육의 패러다임을 지양하고 경험적, 관계적, 성찰적인 교육이 되어야 한다.이러한 종교교육을 위하여 행동하며 성찰하고 성찰하며 행동하는 프락시스(praxis)적 종교교육이 요구된다. 이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이 종교적 수행이다. 종교적 수행의 과정에는 이탈의 단계, 이행의 단계, 재가입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종교 간의 수행과정 가운데 상호 공존할 수 없는 것이 있지만 대부분의 종교는 이 과정중의 한 과정을 그들의 수행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수행과정의 목적을 보편적 인격형성과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한 것으로 본다면 종교 간에 수행과정을 공유할 수 있다고 보며, 수행과정의 공유를 통하여 종교 간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가정아래 연구되었다.

The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today derive from the schooling instruction paradigm itself. The object of religious education is not simply to understand and accumulate knowledge, but to realize and act on the realization. So religious education should avoid schooling instruction paradigm and adopt a paradigm for experiential, relational, and reflective education. Such a religious education requires a praxis paradigm whereby one acts while reflecting and reflects while acting. This requirement for special religious education can be met by ascetic practices. The ascetic practice can be divided into separation phase, transition phase, and reentry phase. Religions usually have their own idiosyncratic ascetic practice, but it is also true that most religions take one of the three phases as part of their ascetic practice.This study assumes that the object of ascetic practice is general cultivation of humanity and formation of faith community, and that different religions can share phases of ascetic practice under the general object, and finally that interreligious communication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such shared phases of ascetic practice.

Ⅰ. 서론

Ⅱ. 종교교육에서 수행의 필요성

Ⅲ. 종교교육의 과정으로서 수행과정

Ⅳ. 종교 간의 수행과정의 차이와 접촉점

Ⅴ. 수행과정을 통한 종교 간의 대화

Ⅵ. 맺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