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선종(禪宗)과 시화(詩畵)의 결합의의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Zen-Buddhism and illustrated Poems

송대에 이르러 선종의 흥성과 함께 그 절정을 이루었는데 당대의 선이 일상생활 속에서 숨쉬고 있었다면 송대의 선은 시의 정신을 떠나 존재할 수 없었다. 즉 언어는 비록 내면의 신비한 체험을 전달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음의 활동이 진여(眞如)로 이어지는 교량의 역할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바로 이 교량의 역할을 시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시만으로는 한계를 느껴 그림으로도 표현함으로써 시화선은 아주 자연스럽게 하나로 융합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송대에 이룩된 문인화론은 ‘시화일률(詩畵一律)’ 혹은 ‘시정화의(詩情畵意)’의 표출로 집약되었던 것이다. ‘시정화의’를 표출함에 있어 문인사대부들은 그들이 받아들인 선종의 ‘정묵관조(靜觀照)’와 직각(直觀)의 사고를 통해서 창작구상을 하였으며 표현행위는 마치 돈오의 순간처럼 번뜩이는 민첩함으로 순간에 진행됨으로써 화면에는 자연스럽고 간결하며 함축된 내심의 산수로 드러났다. 그리고 거기에는 언어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선적 깨달음의 상태까지 이르고자 하는 그들의 이상과 바램이 숨어있던 것이다.

Zen in Dang Dynasty was absorbed in general life, on the other hand, that in Song period couldn t be viewed apart from poetry. It means that language was regarded at least as a bridge for mental activity to obtain principle, even though it could not get over inner-spiritual experience. It was poetry that was reckoned as the bridge. Nevertheless the limit of poetry made paintings, Zen idea and itself united naturally. So to speak, the literati painting theory settled in Song Dynasty was the issue of ‘unification of poetry and painting’ or ‘poetic feeling and painting meaning’.The Gentry used observation and intuition of Zen-Buddhism to get an idea of creation on the matter of showing up poetic feeling and painting meaning. Besides their expressions were performed by instinctive agility such as the moment of sudden enlightenment. As the effect of these work, the painting became a simple and pregnant new nature. Moreover it implied their wishes to reach the awakened situation of Zen which could not be represented by language only.

Ⅰ. 서론

Ⅱ. 자연과의 합일(合一)

Ⅲ. 정묵관조(靜黙觀照)

Ⅳ. 직각(直覺)

Ⅴ. 화원(畵院)의 시정화의(詩情畵意) 추구와 수묵의 절정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