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독교 대중음악과 종교교육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and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31

최근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기독교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CCM으로 불려지는 기독교대중음악은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라이브공연장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글은 CCM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통해 새로운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세가지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된다. 첫째, 대중문화로서 기독교대중음악은 어떻게 정의되고 또 분류될 수 있는가? 둘째, 문화란 의미를 만드는 실천이라고 할 때, 기독교문화적 실천으로서의 기독교대중음악은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셋째, 앞의 논의를 통해, 향후 종교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이상의 탐구주제를 통해, 연구자는 기독교 종교교육이 기독교적 문화교육으로 재개념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CCM이 문화적 실천으로써 적어도 해방적 실천, 해석학적 실천, 그리고 영성적 실천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빠른 시일 내에 기독교문화를 실천할 수 있는 종교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s the popular culture which is focused on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CCM), and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For more details, this paper follows three issues about CCM which are in debates. First of all, the researcher tries to clarify the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as well as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terms of what culture means by signifying practices. Based on such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CCM w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models: worship and praise model, communio sanctorum model, and neighborhood mission model. Secondly, this paper argues that CCM could be theologically interpreted by three-folded theological praxes, i.e., liberating praxis, hermeneutical praxis, and spiritual praxis. Thirdly, following the above results, researcher tries to reconstruct th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us, this paper suggests to re-conceptualiz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as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rather than evangelization in postmodern cultural society, and to develop the new religious curriculum based on Christian popular cultures as soon as possible.

Ⅰ. 서론

Ⅱ. 기독교 대중음악의 개념과 유형분류

Ⅲ. 기독교 대중음악의 신학적 실천들

Ⅳ. 기독교 대중음악과 종교교육의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