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불교비판에 나타난 성리학의 교육적 의의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Neo-confucian criticisms on Buddhism

  • 22

성리학의 사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은 불교비판을 통해서일 것이다. 성리학이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결국에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였다는 것은 성리학이 불교와 유사한 사상적 경향에서 출발하였지만, 결국은 그 차이점을 부각시킴으로서 자신의 사상적 정체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리학 사상이 불교비판을 통해 정립되었다는 전제는 성리학 사상의 교육적 의의 또한 불교비판을 통하여 시사 받을 수 있음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즉, 성리학 사상의 강조점들이 불교 비판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성리학 사상이 갖는 교육적 의의나 강조점 역시 불교 비판의 내용 속에서 찾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성리학자들은 허무 (虛無), 적멸 (寂滅), 환영(幻影)의 원리로서 불교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불교에서의 심 (心)에는 절대적 원리인 리(理)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인간에게 비도덕적인 태도를 허용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한다. 이처럼 불교비판은 비판 그 자체의 타당성을 넘어서, 당시 성리학자들의 불교 이해방식은 물론 성리학적 세계관의 이해방식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불교비판의 역사를 논의하면서 불교 비판의 관점에서 성리학의 교육적 시사점을 통합하고자 시도하였다. 성리학자들의 불교비판 사례를 통해 그들의 사상적 배경을 검토하였고, 성리학의 교육적 의의는 교육목적론과 교육방법론의 범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Ⅰ. 서론

Ⅱ. 불교비판의 전개과정

Ⅲ. 불교비판에 구현된 성리학적 교육관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