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제7차 교육과정과 기독교학교의 종교교육

The 7th National Religious Curriculum for Christi anity and Christi an School in Korea

  • 4

제 7차 종교 교육과정이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을 위축시킬지 모른다는 의구심이 기독교학교와 교회당국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전면적인 개정의 요구는 적절하지 않다는 전제 위에, 연구자는 제 7차 교육과정 안에서 어떻게 종교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제 7차 종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성찰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는 ①제7차 종교 교육과정이 제6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개념- 경험주의자들의 교육과정이론을 보다 체계적으로 활용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②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은 교양교육이라는 맥락에서 접근되고 있음으로, 종단학교 뿐만 아니라 일반 공립학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③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은 신앙교육적 접근과 종교학적 접근을 병행시키는 특징이 있다. ④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은 신앙교육적 접근과 종교학적 접근의 균형보다는 후자에 의한 전자의 지나친 종속으로 흐르는 경향 때문에, 종단학교로부터 거부될 가능성이 있다. ⑤ 제7차 교육과정은 기독교의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기독교 전통을 간과한 채 어느 하나로 축소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⑥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종교교사의 양성이 시급하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을 하였다. ① 종교 교육과정의 개념이 교과서와 같은 객관적 실재의 의미보다 재개념주의자들의 주장처럼 초월을 향한 실천의 과정 으로 재개념화시킴으로써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② 기독교과목 (성경과목 혹은 종교교과)만을 종교교육의 전체로 인식하는 것으로 부터 벗어나, 모든 교과목 속에 기독교적 지식과 정신이 스며들게 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③ 종교과목 중심의 종교교육으로부터 인성교육 중심으로 종교교육이 전환될 필요가 있다. ④ 기독교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종교교육은 종교수업 시간이나 종교교재를 통해 이루어지기보다는 교사나 학교환경 같은 성례전적 존재 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학교의 더 큰 관심이 요청된다.

Ⅰ. 서론

Ⅱ. 제7차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육과정 이론의 배경

Ⅲ.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과 기독교교육학적 비판

Ⅳ.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의 비판적 성찰

Ⅴ. 기독교학교의 효율적인 제7차 종교 교육과정의 운영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