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on Marital Intimac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 495
160131.jpg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심리내적 변인인 자기성찰과 부부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결혼기간 30년 이하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자기성찰 척도, 부부갈등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은 연령, 학력, 결혼기간, 종교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원가족 분화경험은 부부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부부관계 맥락에서 자기성찰의 역할과 원가족 분화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 및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기혼여성들에게 원가족에서의 정서경험과 자신과 배우자에 대해 깊이 이해하도록 하며 보다 적응적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을 증진하는 개입이 부부친밀감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married women with less than 30 years of marriag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2017)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rital intimacy perceived by married women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ir age, education, marriage duration, and religious status, and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rital intimacy. Further,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f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self-reflection in the context of marital relationships, which have rarely been studied, and found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ventions promote deep understandings of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their spouses and themselv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ore adaptive conflict coping behaviors w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their marital intimac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