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원불교는 한국전통사상의 근간올 이루는 유·불·도 삼교의 토양아래 출발하였다. 소태산은 그 중 불법을 주체 삼아 원불교 사상을 전개하였으나 유교로부터 無父無君이라 비판받았던 불교의 폐단을 혁신하여 사회의 근본이 되는 가정을 중시하였다. 원불교의 가정교육에는 嚴父慈母, 태교의 중시, 예의 범절의 강조 등 전통가정교육이 적극 수용되었다. 그러나 단순히 수용에만 그치지 않고 전통가정교육이 가지는 정신은 변하지 않아야 할 것이나 그 형식은 시대를 따라 변화해야 할 것이라는 비판적 인식에서 출발하여 그 사상을 전개하였다. 즉 신분질서를 중시하고 남녀차별, 적서차별 등으로 이어지는 전통가정교육의 가부장제 유지의 틀을 깨고 대신 일원상의 진리가 각자에게 ?I아 있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누구나 완전한 인격체로서 성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독립된 인격체로서 성숙한 인격으로 사회에 유익을 주는 사람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원불교의 가정교육의 방법은 심교, 행교, 언교, 엄교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진실하고 공심있고 덕있는 사람으로 기르고자 한다.
Ⅰ. 들어가는 말
Ⅱ. 원불교의 교의에서 본 가정교육
Ⅲ. 전통가정교육에 대한 비판적 인식
Ⅳ. 원불교의 가정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