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의 대순진리회와 사회적 기능

  • 3

종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19세기 유럽의 고전적 사회학자들에 의하여 제기 되었다. 종교가 사회의 규범, 제도,질서 속에서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여 왔으며 앞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각 종교가 추구하는 보편성과 그 종교의 특성과도 관계되겠으나 그것은 특히 그 사회(국가)의 사상, 경제,문화 또는 정치적 현실을 포함한 특수성이라는 관점에서 폭 넓게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에서는 ‘ 한국의 대순진리회와 사회적 기능’을 고찰함에 있어 대순사상의 연원인 증산(飯山 姜ᅳ淳, 1871-1909). 정산(鼎山 趙哲濟, 1895-1958), 우당(牛堂 朴漢慶,1917-1996)으로 이어지는 대순진리회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두갈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는 이상적 사회 기능으로써의 대순진리회의 교의 안에 함의되고 있는 내용을 토대로 소의 경전인 전경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사상을 1. 평등사상 2. 재생사상 3. 교육사상으로 대별하여 살펴보았고, 둘째는 실천적 사회 기능으로써의 대순진리회의 사회적 활동이나 봉사의 결과를 197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시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Ⅰ. 머리말

Ⅱ. 대순사상과 대순진리회의 사회적 기능

Ⅲ. 대순진리회의 사회적 기능 : 3대 기본 사업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