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불교의 사회적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고, 나아가 한국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색출해 본 다음. 한국불교의 사회적 기능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기능주의적 시각과 합리성이란 평가의 잣대를 전제하였으며. 다음으로 평가영역을 크게 사회화 기능. 사회통합적 기능, 사회제도간 침투성. 그리고 사회복리기능 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한국불교의 사회적 기능은 그 사회적 위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그 원인으로는 크게 불교외적 요인뿐만 아니라 불교내적 요인도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불교가 불교내적 요인을 시급히 극복하고, 자신의 위상에 맞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객관적 평가라는 학문적 가치 이외에도, 보다 적극적인 의미에서 한국불교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해 나가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다소의 실천적 합의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한국불교의 사회적 기능과 그 한계
Ⅳ. 한국불교의 사회적 역할의 제약 요인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