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1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동민(遊動民)의 시좌에서 본 재난 후 회복 문제

The Problem of Recovery after a Disast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madic People-

DOI : 10.52723/JKL.44.045
  • 70

본 논문은 조선후기의 다양한 문헌을 토대로 ‘재난 후 회복’ 문제를 다룬다. 본고에서 주로 다루는 재난 상황은 기근으로 인한 유랑민의 발생, 전염병으로 인한 대규모 사상자의 발생 등이다. 재난 시에 조선이라는 국가가 어떻게 작동했는지, 재난에 대한 국가적 대응이 그리 효과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조선조 피지배계급은 어떻게 자기 나름의 행위주체성을 발휘했으며 어떤 생존전략을 구사했는지를 본고는 두루 탐구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국가와 개별 행위주체의 관계가 ‘재난 후 회복’과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다. 이런 이유에서 본고는 재난 상황을 계기로 하여 국가의 지배체제를 이탈하고자 하는 조선조 피지배계층의 시도가 조선후기 문헌에서 어떻게 포착되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논의를 마무리한다. 특히 이익(李瀷)의 「유민환집」(流民還集)과 박지원(朴趾源)의 「허생전」을 교차적으로 독해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본 논문은 종합적인 시각에서 ‘재난 후 회복’ 문제를 고찰하는바, 한국 고전문학을 기반으로 사회사, 사상사, 정치학 등을 횡단하는 학제적 연구를 지향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recovery after disaster based on various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isaster situations mainly dealt with in this paper include the occurrence of wandering people due to famine and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casualties due to infectious diseases. This paper explores how a country called Joseon work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how the controlled class of Joseon Dynasty exercised its own agency and used survival strategies in a situation where the national response to the disaster was not very effective. Therefore, ultim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individual agent emerges as an important issue in relation to recovery after a disaster . For this reason, this paper concludes the discussion by intensively analyzing how the attempts of the controlled class of Joseon Dynasty to break away from the state s ruling system are 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of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recovery after disaster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aim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traverses social history, history of ideas, and political science based on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Ⅰ. ‘재난 후 회복’의 모호성

Ⅱ. 뿌리 뽑힌 자의 비참함과 존엄함

Ⅲ. 재난 시 국가의 작동 방식

Ⅳ. 국가의 한계와 인민의 행위주체성

Ⅴ. 국가를 벗어나는 두 가지 길

Ⅵ. 재난 후 회복의 (불)가능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