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 교육에서 비대면 동양화 실기교육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A Study on Instructo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Non-face-to-face Oriental Painting Practic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대학 교양 교육에서 비대면 동양화 실기교육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관련 경험이 풍부한 교수자를 대상으로 면담하고 그 결과를 ‘인식’, ‘준비’, ‘운영’, ‘평가’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식’은 수업 목표에 따라 인식의 간극은 컸지만 공통적으로 비대면 수업을 통해 교수자의 역할이 더욱 확장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고 ‘준비’는 수업 준비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늘어났으나 수업 계획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장점도 있었다. ‘운영’은 교육 환경의 다양화로 인한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하고 활용할 수 있었으나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생과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는 교수자 정체성의 혼란과 회의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는 평가의 기준은 성실성이었고 비대면 상황에서 더욱 강화되었으며 작품의 왜곡, 고의적인 보정, 수정 프로그램의 활용으로 인해 정확하고 공정한 평가가 침해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교수자 내적 측면으로 교수자 역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미술 실기 수업의 목표 재설정 및 교수법 연수, 수업 목표에 맞는 평가 기준 설정을, 교수자 외적 측면으로 기자재와 공간 등 물적 지원, 미술 실기 수업 지원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개발 및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s of non-face-to-face oriental painting practic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irst of all, the perception showed a large gap in perception depending o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set by the instructors, but all of them agreed that their role has been expanded through non-face-to-face classes. The preparation had an advantage in that the class plan was systematically implemented, although time and effort to prepare for the class increased. The operation had difficulties due to limitations in interaction, b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diversified to enable dynamic classes, showing many positive aspects as well. However, there were confusion in instructor identity and skepticism which was caused by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students. Lastly, the criteria for evaluation were sincerity, strengthened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it was difficult in that accurate and fair evaluation could be violated due to distortion of artworks, intentional correction, and use of modification program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changing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instructor’s roles, resetting goals of art practice classes and setting evaluation standards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material support such as equipment and space, developing and suppor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were proposed for improvement.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