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342.jpg
학술저널

2015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초등 미술 교과서 참고작품 분석 연구

Analysis of Reference Works in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106

본 연구는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을 대상으로 단원별 참고작품 수, 참고작품의 양식(평면, 부조, 입체), 내용 수준별로 제시된 작품의 수(기초, 주요, 심화), 작가(학생, 교사, 성인작가:외국, 국내) 등을 기준으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참고작품과 단원 목표와의 연계성, 표현 방법 및 재료의 적절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초등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의 수는 총 563개이고, 5-6학년 미술 교과서의 참고작품 수가 3-4학년 미술 교과서의 참고작품 수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고작품의 양식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평면작품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입체, 부조 순으로 나타났으며, 작품 제작자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국내작가, 외국작가, 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특수교육 초등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을 단원 목표와의 연계성, 표현 방법 및 재료의 적절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수정·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본교육과정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 다양한 기준으로 분석하는 연구, 참고작품이 특수교육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연구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ference work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reference work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per unit, the style of the reference works (flat, relief, three-dimensional), the number of works presented by content level (basic, major, advanced), and the artist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students, teachers, adult authors: foreign, domestic), etc.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the reference works and the unit goals, and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 methods and material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rt textbook for special education is a total of 563, and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in art textbooks for grades 5-6 is higher than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for art textbooks for grades 3-4. An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style of reference works, flat work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ree-dimensional and reliefs. appeared a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ference works contain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rt textbook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levance to the unit goals,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 methods and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se results, a study to find out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ference works contained in the art textbook of the basic curriculum, a study to analyze it based on various criteria, and a study to look into how the reference works are being us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conducted. suggested the ne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