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전문화체학 접근방식을 통한 생태계교란 생물인 담수 외래종의 대중인식 평가

Assessment of Public Awareness on Invasive Alien Species of Freshwater Ecosystem Using Conservation Culturomics

DOI : 10.17663/JWR.2021.23.4.364
  • 9

담수 외래종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시대나 외래종과 관련된 특정 사건에 따라 달라진다. 인식차이는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쳐 외래종을 관리하는데 대중들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전문화체학 (Conservation culturomics)에서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플렛폼의 디지털 텍스트, 언론보도, 인터넷 검색량을분석하여 담수 외래종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와 감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1종의 담수 외래종을 대상으로 트위터 게시글 수와, 언론보도량, 검색량을 추출하여 대중의 관심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 자료들의 시간에 따른 추세와 계절변동성여부, 자료의 반복 주기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텍스트마이닝 기법 기반의 감성분석을 통해 감성지수(sentiment score)로 산출해 각 종에 대한 대중들의 감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황소개구리와 뉴트리아, 파랑볼우럭, 큰입우럭은 다른 종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대중의 관심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종에서는 특정 시기에 따라반복되고 변화하는 트윗량과, 언론보도량, 검색량을 나타냈다. 한편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담수외래종에 대해 부정적인 감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생태계교란 생물이 지정된 이후 연도가 갈수록 부정적인 감성은증가하였다. 하지만 과학적 근거가 없는 정보가 확산되거나 혐오를 증대시켜 담수 외래종을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외래종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과학적으로 파악하여 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Public awareness of alien species can vary by generation, period, or specific events associated with these species. An understanding of public awareness is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alien species because differences in public awareness can affect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plans. We analyzed digital texts on social media platforms, news articles, and internet search volumes used in conservation culturomics to understand public interest and sentiment regarding alien freshwater species. The number of tweets, number of news articles, and relative search volume to 11 freshwater alien species were extracted to determine public interest. Additionally, the trend over time, seasonal variability, and repetition period of these data were confirmed. We also calculated the sentiment score and analyzed public sentiment in the collected data using sentiment analysis based on text mining techniques. The American bullfrog, nutria, bluegill, and largemouth bass drew relatively more public interest than other species. Some species showed repeated patterns in the number of Twitter posts, media coverage, and internet searches found according to the specified periods. The text mining analysis results showed negative sentiments from most people regarding alien freshwater species. Particularly, negative sentiments increased over the years after alien species were designated as ecologically disturbing species.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