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항노화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 국가책임제 도입에 관한 정책 연구

Policy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Responsibility Policy for Wellness Programs to Facilitate Anti-aging Healthcare

  • 25

인구 고령화의 심화 및 급격한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자 증가에 따른 다양한 사회 및 경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급변하고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면역력에 대한 증진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이 더욱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세계주요국들의 헬스케어 관련 규제 동향과 정책들을 살펴보고 항노화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미래 발전 방향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존 헬스케어와 관련한 정책들은 세계경제포럼에서 건강관련 요소는 미래에 건강기반경제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 예견한 바가 있음에도 초창기 4차 산업혁명 시기 헬스케어산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처치 및 치료 중심에서, 건강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유지 및 관리의 외연이 확장된 웰니스 부문에 기반이 되는 정책들이 수반이 되질 못하고 있다. 이에 만성질환자뿐만이 아니라 항노화헬스케어를 지향하고 일반인들과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을 국가책임제로 도입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헬스케어 컨설턴트를 위한 항노화 시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경제효과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A healthy lifestyle is gaining increasing attention due to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trends and policies of healthcare-related regulations in global countr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and policy to facilitate anti-aging healthca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concluded as follows. Although the traditional policies regarding healthcare predicted that health-related factors would be the driving force of the health-based economy in the future at the World Economic Forum, the early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d on the treatment and intervention for patients who are already in the healthcare industry. Thus, excluding the policies based on the expanded wellness sector of health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healthy people.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reate new jobs and build various policy supports and infrastructures for healthcare consultations to stimulate economic growth during the anti-aging era.

Ⅰ. 서 론

Ⅱ.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

Ⅲ. 헬스케어 지원정책

Ⅳ. 웰니스 프로그램 국가책임제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