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행복 결정요인 추이 분석 : 2010-2020 국민여가활동조사를 바탕으로

Analysis of Trends in Determinants of happiness: Focus on 2010-2010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 151

본 연구는 `10년부터 `20년까지의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토대로 각 연도의 행복결정요인을 도출하고 나아가 추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8년, 2019년 및 2020년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교육수준, 본인의 월 소득), 여가 시간(평일, 휴일), 여가활동에 지출하는 비용, 전반적인 여가생활 만족도, 행복수준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모든 연도에서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여가 만족(β=.406~.520)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β=.080~.117)이 그 뒤를 이었고, 3순위는 연도별로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민의 행복도와 여가의 관계를 보다 정밀히 규명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들에 의해 행복이 발현되는지 설명할 수 있는 결과들을 도출함으로써, 행복을 구성하는 실제적 요인은 물론 사회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여가실태를 파악한 지난 10년간의 종단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복을 구성하는 실제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람들이 느끼는 피로감을 해소하여 얻을 수 있는 삶의 정상화나 회복의 담론에서 멈추지 않고, 여가생활을 통해 행복에 다가가려는 성장 담론으로의 전환을 타진하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for each year based on the data of the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from 2010 to 2020 and analyze the tre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from the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for 2010, 2012, 2014, 2016, 2018, 2019, and 2020 were used for analyses. Specific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putt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house income), leisure time (weekdays, holidays), leisure expenses, overall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eisure satisfaction (β=.406~.520) was the variable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happiness in all years from 2010 to 2020, followed by education level (β=.080~117), and the third rank was somewhat different by year. This study derived social implications as well as practical factors that make up happiness by more precise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s happiness and leisure, and specifically deriving results that can explain what factors express happiness. This study derived practical factors that constitute happiness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past 10 years that identified the leisure status of the people.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because it does not stop from the discourse of normalization or recovery of life that can be obtained by relieving fatigue felt, but is exploring the transition to a growth discourse to approach happiness through leisure lif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