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한⋅미 초등 음악 교과서 창작⋅즉흥연주 관련 교수학습 내용 비교

Comparison of Creative and Improvisational Class Activitie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Music Textbooks

  • 259

이 연구는 한⋅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음악적 창의성 계발을 목적으로 한 창작 즉흥연주 활동의 교수학습 내용을 비교하고, 2022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시사점 또는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창작 즉흥연주 활동의 중심적 교수학습 내용이 한국은 노랫말인 반면, 미국은 화음패턴과 음정패턴이라는 점이 뚜렷한 차이 중 하나였다. 또한 미국이 한국에 비해 창작 즉흥연주 활동의 양적인 구성면에서 5~10배 이상 많았고, 제재곡의 길이 측면에서는 미국은 대부분 8마디 이하 곡들인 반면 한국은 대부분 16마디 이상의 곡들로 구성되었다. 미국은 창작 즉흥연주 활동을 사전 활동과 목표 활동으로 구분하여 발전시켜 나가고, 창작 즉흥연주 활동의 위치도 제재곡의 도입부, 종지부, 중간, 그리고 끝나는 음 등에서 교수학습이이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creative improvisation activities aimed at developing musical creativity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or applicability before the revision of the 2022 curriculum. One of the distinct differences was that the central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creative improvisation activities were lyrics in Korea, whereas chord patterns and pitch patterns in the United States. Also, compared to the Korean, the American textbooks had more than 5 to 10 times more in terms of the quantitative composition of the creative improvisation activities activities. And,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song, most of the songs in the American textbooks were 8 bars or less, whereas in the Korean, the songs were mostly 16 bars or more. In the American textbooks, creative improvisation activities are located at the beginning, cadence, middle, and ending notes of the song.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창작⋅즉흥연주 교수학습 내용 비교

IV. 결론 및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