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동화 각색을 이용한 주크박스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2학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Jukebox Musical Program Using a Fairy Tale Adaptation

  • 251

이 연구는 동화 각색과 주크박스 뮤지컬 형식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준비, 개발, 시범 적용(파일럿)을 통한 수정 및 보완의 3단계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 을 가진다.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주요 역량 중 하나인 심미 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포함한다. 둘째,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음악 활동인 노래 부르기, 노랫말(가사) 바꾸기, 몸으로 표현하기를 포함한다. 셋째, 실천적이고 창의적인 체험 활동 중심의 30차시(120분 블록수업, 10회) 교육프로그램으로, 학습자 수준에 따라 학습 활동 선택과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보다 쉽게 뮤지컬을 교육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 맞는 예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usic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by using dramatization of fairy tale and jukebox musical format. To this end, the study has practiced through three stages procedures, includ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example application(pilot) for supplement and modification.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it contains the enhancement of capabilities pertaining about aesthetic sensibility,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primary capabilities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pleasant education for living. Second, there are music activities like singing, changing lyrics, and body language for the pleasant education for living. Third, the program has 30 courses (120-minute block, 10 times), mainly composed of practical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study activitie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ers as well. This study presents new measures to teach students musicals in school with easy, and provides appropriate examples for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grades.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