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나이 듦에 대한 자기인식의 매개효과
Effect of Older Adults’ Images of Aging on Suicidal Ide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Perceptions of Aging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한국사회복지교육
- 제56집
- : KCI등재
- 2021.12
- 1 - 31 (31 pages)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자신의 나이 듦 인식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부터 7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로 구분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에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자살 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미지가 부정적일수록 나이 듦에 대한 자기 인식이 부정적이고 자살 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자살 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나이 듦에 대한 자기 인식이 긍정적이며 자살 생각을 적게 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과 노화에 대한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노인이 자신의 나이 듦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mages of older adults on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suicidal ide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18 with 202 adults (over 65 years) living in Seoul and other parts of Gyeonggi Province. Data regarding the images of older ad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to divide th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The analysis found that negative images of older adults directly affected suicidal ideation, with more negative images leading to more nega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more suicidal ideation. In contrast, positive images of older adults did not directly affect suicidal ideation; more positive images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less suicidal ide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argue for the need to improve older adults’ perception of aging, and present practical suggestions to help older adults think positively about how they are aging.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