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67.jpg
KCI등재 학술저널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in Young Adults: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 222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미취업상태이며 실질적인 취업준비경험이 있는 성인 초기 취업준비생(대학교 4학년 이상∼만 29세) 총 34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은 취업불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들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한 부정 정서가 유발되는 상황에서도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사용하고, 부적응적인 전략은 덜 사용하게 함으로써 실패에도 건설적으로 반응하도록 하는 실패내성을 길러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감사라는 정서가 취업준비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기제임을 검증하고, 실패에 대한 건설적인 태도 발달에도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긍정 정서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덧붙여, 최근 코로나로 인한 취업난 속에서 불확실성이 증가한 만큼 취업준비생의 개인 내적 자원을 구축하기 위한 개입 방안뿐 아니라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342 early adulthood youths, aged 22-29, who reported that they were actively engaging in job-search activities. Process macro v3.4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were both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develop capabilities to cope with and respond to failure appropriately in relieving job-seeking anxiety. Therefore, improving gratitude and enhancing failure tolerance may protect job-seeking early adulthood youths from anxiety, which ha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