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직업계고 진학 선택을 위한 경기도 직업계고 교원의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인식 조사
A survey on job perceptions on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of teachers of Gyeonggi-do vocational high schoo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choosing to go on to vocational high schools
본 연구는 직업계고 교원이 인식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수행 실태와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 그리고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과 어려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경기도의 모든 직업계고(108교)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된 778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원 중 직업계고에서 제공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을 수행한 응답자는 706(90.8%)명이며, 이러한 지원 활동이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응답한 평균은 3.62로 나타났다.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99,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3.96,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수행 난이도는 3.36으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수행 난이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졸업생이 근무하는 산업체 견학’ 3.92, ‘중학교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4,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 정도는 3.09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적절성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53, ‘우리 학교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진로 상담’ 3.49,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46, ‘우리 학교(직업계고)로 찾아오는 학교(학과) 설명회’ 3.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e degree of help to secure of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ask adequacy of assistance activity and level of difficulty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online to all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108 schools) in Gyeonggi-do, and analyzed 778 sheets collect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performance (frequency of respons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as 90.8% (706 respondents). as for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for attracting freshme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plied as 3.62.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99 placed first in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96,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94. etc. appear. Second,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 job performance difficult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was 3.36. The highest degree of task difficult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companies where graduates of our school work’ 3.92 topped the list of the level of task performance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s’ 3.74,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73. etc. appear. Thir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swered 3.09 as to the level of task adequac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The highest level of task adequac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53,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counseling visiting our school’ 3.49,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School (department) presentation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etc. appear.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