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류분석연구의 동향과 과제
The Research Trend and Tasks of Korean Transactional Analysis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교류분석상담연구
- 제11권 제2호
-
2021.121 - 25 (25 pages)
- 465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교류분석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가 나아갈 방향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류분석의 주요개념을 활용하여 총 6차에 걸쳐 자료를 검색․분류한 결과, 1981년부터 최근까지 40여 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는 학위논문 211편, 학술논문 186편으로 총 397편으로 나타났다. 최종 선정된 논문 387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132), 자아상태(.128), 인생태도(.099)의 순으로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시기적으로 2010~2019년에 집중되었고, 연구유형에서는 효과연구(43.6)%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75.1%)가 많았고, 학술논문은 교류분석상담연구(26.9%)의 비중이 높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 향후 연구 과제, 교류분석상담에 대한 함의 및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way to go and tasks to resolve of related researches henceforth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transactional analysis. All 6 steps were executed that utilized major concepts of transaction analysis to search and classify materials. Total 397 pieces, which 211 dissertations and 186 thesis of transaction analysis related researches appeared for 40 years in this count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utilized in analyzing final 387 researches.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nection centrality appeared in order of program(.132), ego state(.132), and life position(.099). Research publishing year centered in 2010~2019, and effect study(43.6%) was in the majority in terms of study type. Quantitative study(75.1%) was the most common. The majority of the thesis were in the journal of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and research(26.9%). Based on the results, academic development plan, future research tasks, implications on transaction analysis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etc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