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학교수준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과 참여적 학교풍토, 교사협력 및 전문성개발 활동 간 구조관계 확인: 다층구조방정식모형 분석

School-Level Mechanisms Among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alysis by MLSEM

  • 978
커버이미지 없음

집단적 교사혁신은 학교조직 차원에서 혁신의 확산, 집행, 그리고 지속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집단적 교사혁신이 심층적으로 분석되어 오지 못했다. 본 연구는 TALIS 2018에 참여한 우리나라 345개 초중등학교 소속의 6,138명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수준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과 참여적 학교풍토, 교사 협력 및 전문성 개발 활동이 어떻게 구조적으로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학교수준에서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모형은 다층구조방정식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교수준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과 외생변인으로서 참여적 학교풍토간의 관계에서, 교사협력 및 전문성개발 활동이 각각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의 경우 학교조직 혁신을 이끄는 결정적 요인 중 하나인 집단적 교사 혁신성 향상에 참여적 학교풍토가 잠재적 선행변인으로서 작용하고, 이 과정에서 교사 협력 및 전문성개발 활동이 각각 중요한 연계 역할을 하는 학교조직 행동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

Because school innovation is usually perform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organizational members rather than as only an individual activity,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is critical to increasing school innovation.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 the antecedents of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at the school level. Using the South Korean data from the 2018 TALIS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results, which consists of 6,138 teacher samples from 345 South Korea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how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a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at the school leve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LSEM).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at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This finding empirically identifies the mechanism of school organization as being that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functions as an exogenous input variable to increasing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and that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both have an important indirect role in their relationship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I. 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