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42.jpg
KCI등재 학술저널

Lv.4+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분석: KANO모델 적용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Wheelchair for the Mobility Support Service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y Lv.4+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pplication of KANO Model

DOI : 10.24226/jvr.2021.12.31.3.45
  • 390

인간에게 있어서 이동의 자유 및 이동권은 자신의 기본권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특히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 이동에 불편을 가지는 교통약자들에게 있어 이동권 보장에 대한 과제는 중요하게 인정되고 있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이동권 확보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편, 자율주행차량은 미래형 자동차로써 ‘이동’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이동권의 자유를 기대할 수 있으나 자율주행차량의 광범위하고 보편적인 이용의 실현을 위한 시설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고, 이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지 및 제도, 정책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자율주행기반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기능적 우선순위를 검토하기 위하여 KANO 모델 분석기법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사항에 대한 기술적 선호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KANO 모델을 적용한 결과 총 31개의 품질평가 항목요소 중 일원적 품질요소 15개 항목, 매력적 품질요소 13개 항목, 무관심 품질요소 2개 항목, 당연적 품질요소 1개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사항 정의에 따른 PCSI를 기반한 우선순위 5가지는 ⑴ 문자로 안내 문자 수신 기능(이용일시, 목적지, 차량번호 등), ⑵ 앱에서 예약 취소 기능, ⑶ 차량에서 이용자 인식 기능(센서, 음성, 키패드, NFC 방식 등) 및 음성안내, ⑷ 차량에서 돌발상황 발생시 관제센터 연결 기능(음성인식 기반), ⑸ 앱에서 예약변경 기능(시간, 경로) 가능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Lv.4+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 개발에 있어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기능적 우선순위를 검토함으로써 향후 특별교통수단 서비스에 대한 자율주행기술 개발의 성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or human beings, freedom of movement and the right to move are very important in realizing their basic rights. In particular, the task of securing the right to move is recognized as important not only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but also for the transportation-disabled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moving, such as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ecuring the right to move is a functional element that enables life as a social part of life. On the other hand, autonomous vehicles can expect freedom from movement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erms of ‘mobility’ as a futuristic vehicle. However, facilities for realizing the widespread and universal use of autonomous vehicle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society s perception, system, and policy regarding this.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KANO model analysis technique to review the functional priorities for autonomous driving-based future mobility services for the wheelchairs users and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echnical preference priority for the requirements of the wheelchair user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KANO model are as follows. Among the 31 quality evaluation item elements, 15 items of onedimensional quality factor, 13 items of attractive quality factor, 2 items of indifferent quality factor, and 1 item of must-be quality factor were derived. And the five priority based on PCSI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requirements of wheelchair users are as follows. ⑴ Text message reception function (date of use, destination, vehicle number, etc.), ⑵ cancel reservations in the app, ⑶ user recognition function in vehicle(sensor, voice, keypad, NFC method, etc.), ⑷ control center connection function in case of unexpected situation in vehicle(voice recognition based), ⑸ reservation change function available in the app(time, route).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wheelchair users in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rvice technology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raffic using Lv.4+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by examining the functional priorit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 및 분석

Ⅳ.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