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593.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분석과 분석심리학의 변증법

Dialectic of Psychoanalysis and Analytical Psychology: A Theoretical Study on the Ultimateity of Bion s O and Jung s Collective Unconscious

  • 297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목회) 상담에서 제기되는 삶의 실존적 문제에 대한 선험적 심리학의 갈래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그 함의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출애굽기 33:18-23의 모세의 실존적 문제 제기와 이에 대한 궁극자와의 응답이 어떻게 임상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학의 철학적 기반과 지향점을 모색함으로써 이 두 가지 이론의 상호연관성과 기독(목회) 상담적 의의를 탐색하였다. 둘째, 분석심리학자인 Jung의 집단 무의식과 정신분석가인 Bion의 ‘O’ 개념의 궁극적 관점에서 어떠한 상호연관성을 취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실존적 제기와 궁극적 측면의 상관관계적 대화가 임상에서 어떻게 재현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 고찰로 살펴보았다. 이는 상담적 장면에서 제기되는 실존적 제기에 대한 해석과 접근의 토대를 구축함으로써 기독(목회)상담의 영성, 초월론적 시각 및 임상적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reas of a priori psychology on the existential problems of life raised in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and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ts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how Moses existential problem raised in Exodus 33:18-23 and his response to the absolute can be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theories by seeking the philosophical basis and direction of psychoanalysis and analytical psycholog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Jung s collective unconscious and psychoanalyst Bion s O concept is considered from the ultimate point of view. Third, the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existential thesis and ultimate aspect of the correlational dialogue can be reenacted in the clinical practice. This can contribute clinical field by establishing the basis of the hermeneutic approach to the existential question raised in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Ⅰ. 서론

Ⅱ. 궁극성에 대한 Jung과 Bion의 관점

Ⅲ. 기독(목회) 상담적 의의 및 결론 : 모세가 본 것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