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워킹맘의 일과 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Working Mom’s Work and Parenting Lived Experience in the Covid-19 Crisis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2권 제3호
- : KCI등재
- 2021.08
- 245 - 277 (33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워킹맘들의 일과 양육에 대한 경험을 연구하였다.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엄마들을 연구 대상으로 시작된 본 연구는 이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일과 양육을 병행하며 겪은 다양한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Van Manen이 제시한 몸성, 공간성, 관계성, 시간성이라는 4가지 실존범주를 중심으로 워킹맘들의 일과 양육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드러난 150개의 의미단위, 21개의 드러난 주제와 8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4가지의 실존범주로 재배열한 결과, 몸성은 엄마의 이름으로 감당해야 하는 수고, 질병과 피곤과의 사투, 공간성은 하이힐을 신고 달리는 엄마와 가족장벽 속에서의 안도감, 관계성은 가족사랑의 재발견과 로뎀 나무 그늘에서의 휴식, 시간성은 육아훈련의 익숙함, 혼란의 시간에서 질서의 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업과 자녀 양육 두 가지를 병행하는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엄마들의 경험을 실존적인 삶의 의미로서 재구성해 드러내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which was initiated as a study targeting mothers of infants and children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both working and caring children in the COVID-19 pandemic crisis situation, aim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various experiences they have experienced while working and raising children.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Van Manen s four lifeworld existential of lived body, lived time, lived space, and lived human relations, revealed the essence and meaning of working mothers work and nurturing experiences. The 150 semantic units reveal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re compressed and summarized to derive 21 revealed themes and 8 essential the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nstructs and reveals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younge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who do work and parenting at the same time, as an existential meaning of lif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