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되어버린 아이들
Children who Became ‘Stars’: Child Abuse and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2권 제2호
-
2021.0539 - 64 (26 pages)
- 165

사랑의 매로서의 체벌이나 부모 자식 간에 일어나는 사적인 일이라는 잘못된 신화들에 가려져, 오랫동안 한국 사회에서 아동학대의 문제는 어디까지가 부모의 교육이고, 어디서부터 학대인지 그 경계선이 불분명한 채로 은폐되어 있었다. 아동학대는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 및 유기와 방임을 말한다. 아동학대가 일어나는 주요 공간은 어린이집이 아닌 바로 가정이며, 많은 아동들은 자신의 친부모에 의해 학대를 경험한다. 이 연구는 매년 증가하는 아동학대라는 어두운 주제에 대해 기독(목회)상담적 성찰을 시도하려고 한다. 은폐되고 잊힌 죽음의 대상이 되는 아동학대의 현상을 타자의 해석학으로 설명하면서 이 사회의 약자 중의 약자를 돌보라는 기독교의 가르침과 피해아동을 회복시키는 기독(목회)상담가의 돌봄 지침을 제시할 것이다. 사회적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 예산과 전문인력 확보라는 시급한 방법에 대한 논의를 포함해서 사랑과 존중으로 아이를 대하라는 성서의 가르침을 소개하고, 상처받은 어린 마음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공감적인 자기대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기독(목회)상담가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제언한다.
The issue of child abuse has been concealed from Korean society due to the problematic myth that corporal punishment is a private domestic affair.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increasing accounts of child abus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Child abuse occurs most in the home, and most children experience abuse from their biological parents. By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child abuse through the hermeneutics of ‘others,’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to care for the weak among the weak and the care guidelines of Christian counselors to restore the victims will be presented. It includes discussions on social support and urgent ways to secure budgets and professionals. Then, the researcher introduces the Bible s teachings to treat children with love and respect, and suggests that the important role of pastoral counselors is to provide an empathetic self-objective function that can support a broken heart.
Ⅰ. 들어가는 말
Ⅱ. 아동학대 현황
Ⅲ. 목회신학적 논의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