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와 사이코드라마의 잉여현실
John Wesley s Understanding of the Holy Communion and the Experience of ‘Surplus Reality’ in Psychodrama
- 황헌영(Whang, Henry Heonyoung)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2
- 35 - 59 (25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John Wesley가 보여준 성만찬 의례의 통전적 복음전파의 특징을 심층심리학적으로 분석하고, 성만찬의 의례가 주는 유익과 현대 심리치료가 공유하는 내용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Wesley가 강조한 은혜의 ’외적이고 가시적인 수단‘으로서의 성만찬에 담긴 신학적 입장을 정리하고, 또한 성만찬을 직접 언급한 바 있는 Freud, Jung, 그리고 Turner의 심층심리학적 견해를 살피어 각각 불안 해소의 방어기제, 원형의 상징과 신비적 경험, 그리고 창조적인 삶을 위한 통과의례로써 성만찬의 의미를 정리하여 상호비판적 상관관계론의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Moreno의 사이코드라마의 통합적 치유 방법론을 주목하여 성만찬 참예자들이 경험하는 불안의 해소, 무의식과 의식의 대화, 그리고 거룩한 삶으로의 통과의례와 같은 심층심리학적 요소들이 ’잉여현실‘(surplus reality) 기법에서 모두 통전적으로 수용 통합되는 경험이 가능함을 밝히었다. Wesley가 ‘말씀 과 ‘의례 를 동시에 강조하면서 보여준 균형적인 복음전도의 사역이야말로 기독교의 복음이 ‘머리 만이 아닌 온 ‘몸 으로 체험되어야 할 전인적 구원을 의미하며, 성찬의례는 바로 이를 위한 은혜의 수단으로써 우리에게 새롭고 창조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구원의 수단이요, 도구가 됨을 다시금 깨닫게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신앙행위와 심리적 치유방법론들이 상호비판적 대화를 통해 상호이해와 교류의 지평을 열어갈 수 있음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John Wesley on the Holy Communion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drama. John Wesley‘s evangelism puts emphasis on not only the Word, but also on the Sacrament, as he considers it an essential, ’the means of grace,‘ which God allows us to enjoy in our spiritual journey.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listic salvation in Wesley s understanding through Moreno’s empirical approach using psychodrama, in which he adopts the method of enactment in therapy through dramatizing the stories of people. In particular, Psychodrama s ‘surplus reality’ treatment technique makes it possible to discover that it parallels the benefits and creative experiences of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ritual of the Holy Communion. It is so good to discover that many of the great impacts of depth psychology are actually embedded in the views of John Wesley on the Holy Communion, as they enables this mutual constructiv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depth psychology.
Ⅰ. 들어가는 말
Ⅱ. Wesley의 성만찬: “은혜의 수단
Ⅲ. 성찬의례의 심층심리학적 의미
Ⅳ. ‘영혼의 드라마’(잉여현실)로서 성찬의례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