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해 청소년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단일 임상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the Psychoanalytic Art Therapy for a Self-Injury Teenager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1권 제3호
- : KCI등재
- 2020.08
- 289 - 340 (52 pages)
본 연구는 자해를 반복하고 있는 청소년에 대한 심리치료 사례이며, 2018년 1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OO시 국립OO정신건강보건센터에서 진행된 임상사례이다. 본 연구는 7세션 이후 내담자의 갑작스러운 교통사고의 재수술로 인하여 잠시 중단되었으며, 2달 후 추가로 7세션이 진행되어 총 14세션으로 종결한 임상사례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의 임상적 정보, 심리적 기제와 청소년 자해의 심리를 연구한다. 또한 청소년 심리상담의 도구로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의 의미와 자해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에 대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를 통해 나타난 청소년의 심리세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청소년이 불안과 신경증적 갈등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는지, 그 과정을 묘사하고, 분석한다. 또한 자해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청소년이 겪는 불안의 세계에서 청소년의 자율성을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한 임상적 요인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 기제를 밝힌다. 마지막으로 자해를 반복적으로 하는 청소년을 둔 부모의 불안에 공감하면서, 계속되는 청소년의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을 위해 청소년과 부모와 치료사가 앞으로 수행해야 할 임상적 측면들과 기독교적 돌봄에 대해서 제시한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the psychoanalytic art therapy for a self-injury teenager who has repeatedly hurt himself. It is a case study that has carried from November 2018 to June 2019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located in OO city. The counseling suddenly ended in seven session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lient who had a car accident. It describ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nd clinical information of Hayti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case study. It also examines the psychology of the self-injury teenager. Then it shows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art therapy as a psychological method for teenagers. It aims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the self-injury teenagers, who expressed himself in the psychoanalytic art therapy. Lastly, it delves into Christian care and the clinical aspect that parents and psychotherapists can help the teenagers for the better family life and school life.
Ⅰ. 서론
Ⅱ. 내담자의 임상적 면담
Ⅲ. 청소년의 자해심리와 내담자의 심리 세계
Ⅳ. 내담자의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와 기독교상담적 평가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