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재난 피해자 가족의 삶의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Family of Social Disaster Victim: Focusing on Spouse of Victim of Humidifier Disinfectants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1권 제3호
- : KCI등재
- 2020.08
- 175 - 221 (47 pages)
본 연구는 가습기살균제 사건 피해자 가족의 삶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의 가족 1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Stake(1995)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147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가습기살균제 사건 피해자 가족은 가습기살균제 피해 이후 삶의 과정에서 ‘가정 내 과도한 역할 부담’, ‘경제적 손실과 압박’, ‘사회적 축소와 고립’, ‘자기 돌봄의 부재’, ‘지속되는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 ‘사회적 지지 부족’을 경험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가 가족의 가습기살균제 사건 피해 이후의 삶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경험들을 독립적으로 기술한 ‘사례 기술’과 공통 경험이 갖는 의미를 주제별로 정리한 ‘사례 분석’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가족 돌봄을 위한 포괄적인 재난심리지원의 필요성과 기독(목회) 상담사가 수행해야 할 사회정의 옹호 역할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family of the victim from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cid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one of the victim’s family and it was analyzed with methods accor-ding to the ‘Stake’s case study(1995). As a result, 147 concepts, 23 low categories, and 6 categories were deducted. After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cident, the family of the victim experienced ‘excessive family role,’ ‘economic loss and pressure,’ ‘social reduction and isola-tion,’ ‘the absence of self-care’ and ‘lack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organized with ‘case description’ from the experi-ence of the victim’s family after the incident. Moreover, the study offered a ‘case analysis’ categorized with the common experience that any victim’s family has been going through.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disaster support/care system and the role of social justice advocacy for the family of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