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위니캇의 거짓자기 분석과 목회적 돌봄(목회상담)에의 적용

Analysis of Winnicott’s False Self and Its Application to Pastoral Care(Counseling)

  • 231
160601.jpg

위니캇의 거짓자기 이론을 분석하고 그 이론을 근거로 교회의 상황에서 거짓자기가 어떻게 나타나고 유지되는지를 탐구함으로 목회적 돌봄과 상담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거짓자기의 기원과 발달 그리고 거짓자기의 기능과 특성을 분석했다. 이러한 거짓자기가 교회 상황에서는 순응, 반발, 무감각함, 과도하게 지적인 신앙, 침범하는 하나님 이미지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렇게 출현한 거짓자기는 외부 환경으로서 교회 공동체가 너무 많은 활동 참여를 요구하거나 완벽주의적 신앙을 강조할 때 교인들의 거짓자기는 유지된다. 또한 심리내적으로는 교인들이 목회자나 하나님에 대한 부적절한 이미지를 갖게 될 때 거짓자기는 유지된다. 결론에서는 목회적 돌봄과 상담을 위해 제언을 하는데, 첫째는, 거짓자기 출현과 유지하게 하는 요인을 인지하기, 그리고 거짓자기에 대한 욕구를 줄이고 참자기를 양육해야 하는데, 이때 교회 공동체의 안아주기 환경조성, 과도한 열심과 믿음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보는 것과 통합된 영성을 촉진시키는 것과 교회가 환경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examines Winnicott’s theory of the false self—origin, development, function and character of the false self and explores how the false self manifest and be maintained in church context. There are many forms of false self manifested in church context such as excessive compliance, reactivity, internal sense of deadness, over–intellectualized faith, and impinging God image. Two factors that contribute to maintain the false self is church environment(demanding two much program participation without considering church member’s gifts and abilities) and person’s intrapsychic resources(church member’s maladaptive images of pastor and God). On the basis of this explor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church needs to offer good–enough holding environment and teach an integrated spirituality to nurture the emergence of the true self. Pastors and Christian counselors’ role to undermine the false self and nurture the true self in church context is suggested in conclusion.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