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02.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독교가정 부부의 대화시간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versation Time of a Christian Family on Marital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Communication Style

  • 144

본 연구는 부부의 대화시간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50명의 기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의사소통유형 체크리스트, 결혼만족도 검사, 하루 평균 부부 대화시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집단 간 비교에서는 초이성형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밖의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는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화시간은 산만형과 초이성형, 결혼불만족도와는 부적상관이 있었고 일치형과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대화시간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치형과 산만형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초이성형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연구 결과는 부부의 대화시간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유형이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mmunication–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sation–time and marital–satisfaction. This surveyed 250 married adults to measure the checklist of communication–types, the test of marital–satisfaction, and an average time on couple–commun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male and female groups,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only in super–reasonable type,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other communication–types and marital–satisfaction. Second, conversation–tim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stracting, super–reasonable type, and marital–dissatisfaction,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gruent typ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time and marital–satisfac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there was a partial–mediating–effect in congruent, distracting types,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in super–reason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unication–typ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time and marital–satisfaction, and the significance/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