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06.jpg
KCI등재 학술저널

탈북 청년들의 기독교 회심과 신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toward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religious conversion of Christian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 88

본 연구는 탈북 1세대 부모와 다른 방식으로 기독교를 믿게 된 탈북 2세대 청년들에 주목하여 그들의 회심 및 신앙생활 경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한국에 거주하며 교회에 다니고 있는 20대 탈북 기독 대학생 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46개의 주제와 16개의 주제 묶음,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북한에서의 삶’, ‘가족이 전해 준 하나님(북한/중국)’, ‘탈북 과정에서의 신앙적 체험’, ‘한국에서의 신앙생활’, ‘믿음의 전환점’, 그리고 ‘기독교 신앙으로 인한 변화’로 정리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기독교를 접하고 하나님을 믿게 되는 과정 속에서 어디에 있었는지에 따라 경험하는 것이 달라지므로 탈북 기독청년들의 삶과 기독교로 회심한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Rambo(1993)의 상호적 회심단계를 정황(context)과 위기(crisis)를 중심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끝으로 탈북청년과 그들의 신앙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이해해야 하는지, 한국교회와 기독상담자들이 어떻게 북한 사람들의 신앙발달과 성장에 기여해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North Korean youth who have come to believe in Christianity by pinpointing how they have been exposed to Christianity. For this, phenomenologic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ve Christian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outh Korea and analyzed by Colaizzi(1978)’s method. As a result, 46 themes, 16 theme–clusters, and 6 categories were derived and 6 categories were ‘Life in North’, ‘Family based evangelism(China/North Korea)’, ‘Religious experience within defecting course’, ‘Religious life in South’, ‘Turning point of faith’, and ‘Conversion to Christian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ves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ir experiences as a Christian, the Context and Crisis stages were applied to Rambo(1993)’s systematic conversion stage model. This study shows how the pastoral counselors should understand the younger generation of North Korea and equip for their faith development better.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연구 개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