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06.jpg
KCI등재 학술저널

탈북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domestic abuses experiences and the trauma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 23

본 연구에서는 씨실 날실처럼 촘촘히 가로지르는 북한체제의 잔혹한 폭력성을 분단 트라우마의 발현으로 이해하고, 한반도 긴장 속에서 체제 안정과 유지를 위해 오직 생존에 정향된 가혹한 환경에서 일생 동안 폭력에 내몰리는 여성들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화적이며 구조적인 폭력생태환경에서 탈북여성들이 원가족 아동기경험, 결혼생활 아내경험, 어머니경험, 며느리경험, 탈북경험 등 매일매일 일상의 삶처럼 경험한 폭력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여 그녀들의 폭력경험이 반복적인 트라우마 경험이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속적인 폭력경험이 얼마나 오랫동안, 얼마나 심각하게 깊은 트라우마를 남겼는지, 그녀들의 심층구조인 자기(self)를 어떻게 손상시켰는지, 손상된 자기가 그녀들의 정신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루기 위한 사회적·영적·심리적 치료자원들에 대해 제언하여 보았다.

In this research, the atrocious violence of North Korean regime, which is densely crossed like weft and warp, was understood an expression of Trauma of Division, and considered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women who are driven to the abuses in their lifetime in severe environment which shows only survival directionality for regime stability and maintenance in the ten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considered the violence like everyday life that North Korean women refugees experienced in the cultural and systematic violent eco–system, such as childhood experiences of their original family, experiences of marriage life as wife, mother, and daughter–in–law, and the escaping experiences from North Korea, and this study analyzed that their experiences of violence were able to be repetitive traumatic experiences. Especially, this research analyzed that how seriously, for a long time, the continuous experiences of violence left deep trauma, and how did damage to Self of one’s deep structure and how Self–derogation affected her mental faculties and social function. And this study also carefully considered spiritual, soci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resources which help post traumatic growth after overcoming continuous and repetitive trauma.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겨로가

Ⅴ.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Ⅵ. 탈북여성의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