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 장면에서 청소년 자원 개발을 위한 영성지능 평가
Spiritual Intelligence Assessment for Adolescents’ Resource Development in Counseling Setting: An Exploratory Case Study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9권 제2호
- : KCI등재
- 2018.05
- 131 - 161 (31 pages)
본 연구는 청소년 상담에서 청소년들의 긍정적 발달을 촉진하는 영적 자원이 어떻게 평가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사례 분석을 통해 탐색한다. 다양한 영성의 정의 및개념 중에서 구체적으로 영적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에 해당하는 영성지능(spiritual intelligence)에 초점을 둔다. 총 2명의 학교 밖 청소년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이들에 대한 영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영성 평가 도구로는 영성지능을 평가하는 여러 척도를 분석 및 범주화하여 임시적으로 개발한 설문지와 질적 평가 도구인 ‘사진 표현’(photo express)이 활용되었고 전반적인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추가적으로 청소년용 다면적 인성검사(MMPI–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내면에 영적 자원이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경우일상적 사건이 영성과 연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성이 일상 속에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병리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강점 및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영성을 평가 및개발함으로써 ‘종말론적 자기’의 형성을 돕는 상담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spiritual resource of adolescents can be assessed and utilized in youth counseling through case analysis. Among various definitions and concepts of spirituality, it focuses specifically on the spiritual intelligence that corresponds to the ability to use spiritual resources. Two out–of–school youths participated in the spirituality assessment. Spirituality assessment tools include a spiritual intelligence questionnaire and a “photo express,” a qualitative assessment.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ultifaceted Personality Test for Adolescents(MMPI–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resources can be identified through spiritual assessments. Second, spirituality of adolescents can be associated with everyday events. Third, in counseling, a concrete plan can be suggested to utilize spirituality as resources in everyday lif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youth counseling that supports adolescents to develop spirituality as resources and utilize them to construct eschatological self, rather than a counseling which focuses mainly on the pathological issu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이론적 배경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