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08.jpg
KCI등재 학술저널

집단이야기치료를 통한 양육초기여성의 정체성 변화 경험에 관한 연구

Identity Change Experience of Women in Early Nurture Period Through Group Narrative Therapy: Focusing on Motherhood Ideology

  • 169

본 연구의 목적은 모성이데올로기가 양육초기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집단이야기치료를 통해 정체성 변화 경험과 그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양육초기여성에게 대안적 돌봄으로 집단이야기치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양육초기여성 8명으로 선정하여 집단이야기치료 10회기를 진행하였고, 연구방법으로 네러티브 탐구의 방식을 취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양육초기여성 참여자들은 모성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이상적이고도 구체적인 신념들을 각각 내재화하고 있었고, 이러한 신념들은 주변 사람들의 말, 육아서적, 부모교육 세미나, TV 육아 프로그램, TV 부모 교육 프로그램, 육아 사이트, 산후조리원에서의 경험, 또래집단을 통해 영향을 받았다. 둘째, 모성이데올로기로 인한 어머니 역할 신념은 참여자들에게 신체적 어려움, 관계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심리적 어려움과 더불어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집단이야기치료를 통해 양육초기여성 참여자들의 정체성은 세 과정과 9단계를 거치면서 변화가 진행되었는데, 그 새로운 정체성은 ‘기준 있는 엄마’, ‘자신 있는 엄마’, ‘행복한 엄마’이다. 그리고 집단이야기치료에서 ‘집단’은 동질집단, 지지집단, 관계집단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deology of motherhood on women in early parenthood, an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and experience of identity change through group narrative therapy. The study suggests group narrative therapy as an alternative care for women in early parenthood who experience difficulties and identity confusion due to ideology of motherhood. I applied the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First, the participants in their early parenthood were internalizing ideological beliefs by the influence of ideology of motherhood, and these beliefs we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econd, maternal role beliefs due to ideology of motherhood caused participants to experience identity confusion as well as physical, relation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rd, through the group narrative therapy, the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in early parenthood changed through three processes and nine stages into the new identities such as ‘disciplined mother’, ‘confident mother’, and ‘happy mother’. In group narrative therapy, ‘group’ acted as homogeneous group, support group, and relationship group.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론 및 연구 과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