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11.jpg
KCI등재 학술저널

Fairbairn과 Kohut 이론의 비교와 기독교상담적 함의

A Comparative Study on Fairbairn and Kohut and its Implication on Christian Counseling

  • 11

정신역동이론의 역사에서 Fairbairn과 Kohut은 가장 혁명적인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비록 Kohut 자신은 정확한 인용을 하지 않았지만 Fairbairn의 이론은 Kohut의 자기심리학에 영향을 끼쳤으며, 두 이론은 상당한 공통점이 있고 서로를 보충해줄 수 있는 상당한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이론가들의 중요한 개념들 중에서 자기와 대상을 중심으로 한 성격구조이론, 좌절과 내재화, 성격발달이론, 그리고 정신병리에 대한 관점에서 각각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또한 기독교상담으로의 통합적인 측면에서 두 이론의 적용방안과 기독교상담으로 함의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Fairbairn과 Kohut의 이론은 상호 작용이 중요한 관계 중심의 상담에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놓아주기에 기독교상담에 자양분을 준다. 기독교인 내담자를 이해할 때 그가 하나님을 어떠한 대상으로 경험하는지를 탐색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하나님을 유혹하는 대상이나 거절하는 대상으로 경험하거나 역기능적인 자기대상으로 경험하는 내담자들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기독교상담적 개입을 고찰하며 상담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Fairbairn and Kohut are known as the most revolutionary theorists in the psychodynamic history. Though Kohut didn’t quote exactly, Fairbairn’s theory affected Kohut’s, Both of them have common things, and have a possibility to compensate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ommon and different things between Fairbairn’s theory and Kohut’s under the name of the personality structure, frustration and internalization, personal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self and object.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strategies to apply two theories into the Christian counseling and the implication from the integration viewpoint into Christian counseling. Fairbairn’s theory and Kohut’s lay a theoretical groundwork for the relationship–focused counseling and can provide nourishment to Christian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a Christian client experiences God when a counselor understands him or her. This study showed the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nd the intervention from the Christian counseling viewpoint for the clients who has experienced God as an exciting object, a rejecting object, or a hostile selfobject.

Ⅰ. 서론

Ⅱ. Fairbairn과 Kohut 이론의 비교

Ⅲ. 기독교상담으로의 함의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