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11.jpg
KCI등재 학술저널

종교적 경험의 발달적 이해

Religious Experiences: A Developmental Understanding

  • 18

한국 기독교인의 종교적 경험의 발달 과정은 복잡성과 다양성 때문에 종교심리학, 신학, 대상관계이론 등 다양한 이론을 통해서, 인지, 정서, 행동의 전인적인 변화의 과정과 일생 동안 지속되는 심리발달과 영성발달의 통합적인 과정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윌리엄 제임스, 고든 올포트, 제임스 파울러, 대상관계이론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종교적 경험의 핵심요소에 대해서 논의하고 비교분석하였고,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은 비평적 성찰(critical reflection) 능력을 통해서 자율적/독립적인 관점과 성숙한 종교적 정서를 형성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심리발달 측면에서 핵심적인 전환점은 대상항상성과 자기항상성(정체성)을 형성하여서 자기와 대상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안정된 대인관계를 맺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고, 영성발달 측면에서 핵심적인 전환점은 정체성을 가지고 비평적으로 성찰된 개별적–성찰적 신앙이 모습과 역설과 모순적인 경험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가지는 결합적 신앙의 모습으로 성숙하는 것이다. 특히 심리발달과 영성발달의 상호관계에서 성숙한 신앙으로의 성장을 어렵게 만드는 핵심적 원인이 생애 초기 심리적 발달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논의하였다.

Korean Christians’ religious experiences and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are complex and diverse. For this reason,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from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such as psychology of religion, theology, and psychoanalytic object relations theories. Religious developmental process should be a comprehensive growth and change that include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nd an integrative process that combine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aspects. In this article, common factors of religious experiences emphasized by William James, Gordon Allport, James W. Fowler, object relations theories are compared and discussed, and these scholars common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personal critical reflection, independent religious perspective, and mature religious emotion. Critical turning points in a psychological and spiritual developmental process are 1) forming object constancy and self constancy(identity) so that one can experience st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2) developing mature forms of faith such as individuative–reflective and conjunctive faith. Finally, this article articulated and emphasized that one of major reasons of having difficulty in religious developmental process is problems and struggles in early psychological development.

Ⅰ. 들어가는 말

Ⅱ. 종교적 경험의 통일성과 다양성: 제도적 종교 vs. 개인적 종교

Ⅲ. 종교적 경험의 성숙도와 종교적 정서: 비본질적 종교 vs. 본질적 종교

Ⅳ. 종교적 경험 발달의 신학적 이해

Ⅴ. 종교적 경험 발달의 심리학적 이해

Ⅵ. 심리발달과 영성발달의 상호관계

Ⅶ.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