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1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Mediational Effects of Loneliness and Spiritual Well–be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 78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외로움과 영적 안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인천에 소재한 고등학교 재학 중인 1–2학년 710명이며, 이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조사한 결과 중독위험군은 24.2%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적 안녕의 하위요인에서는 실존적 안녕만이 부분매개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high school studentst’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after subtracting the role of two mediator variables of loneliness and spiritual well–being. 710 adolescents were recruited from high schools in Seoul, Kyunggi and Incheon.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these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high school students whose smartphone addiction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was 24.2%. Second, high school students’ loneli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high school students’ spiritu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Forth, high school students’ existenti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