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기독상담자의 소명의식에 대한 실존적 특성 연구
Exist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ense of Calling for Female Christian Counselors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8권 제1호
- : KCI등재
- 2017.02
- 9 - 42 (3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기독상담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하여 이들의 소명의식이 어떻게 발현되며, 삶 속에서 경험하는 소명의식의 실존적 특성과 의미가 어떠한지를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성기독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는 111개의 구성의미, 38개의 주제, 13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여성기독상담자의 소명의식은 ‘여성으로서 불만족한 삶에 대한 공허감’, ‘하나님과의 소통 단절과 신앙적 갈등’과 같은 삶의 실존적 상황 가운데 ‘부르심을 통한 소명의식의 자각’, ‘돌보는 자로서의 부르심에 대한 자기인식’을 통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여성기독상담자의 소명의식의 실존적 특성은 ‘소명의식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내적 혼란’, ‘자기성찰을 통한 실존적 자기경험’, ‘여성으로서 가정과 일의 두 소명 사이의 갈등’, ‘소명 실천 과정에서의 한계 인식’, ‘단독자로서 하나님과의 대면’, ‘자기를 초월한 새로운 의미체계의 생성’으로 도출되었다. 여성기독상담자의 삶에 소명의식이 주는 실존적 의미는 ‘자아본질 발견으로 인한 내적 충만감’, ‘여성기독상담자로서 지경의 확장’, ‘하나님이 이끄시는 삶 소망’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ow the sense of calling for female Christian counselors manifests, and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t holds in daily life. For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utilizing the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ven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reveals that the sense of calling for female Christian counselors manifests in the ‘realization of their vocation through God’s calling’, and ‘recognition of their calling to be a care giver’, in the midst of the ‘emptiness they feel living an unsatisfactory life’. and ‘internal conflict caused by a severance of communication with God’. The existential qualities uncovered in this paper are ‘internal conflict based on uncertainty over the calling’, ‘existential experiences through self–examination’, ‘conflicts in dealing with work and family as a women’, ‘recognizing one’s limitations in the pursuit of the calling’, ‘meeting God as women of prayer’, and ‘establishment of a meaning system that transcends one’s self’. The existential meaning that is given by the sense of calling in female Christian counselors to their lives encompassed ‘fulfillment in discovering one’s feminine sense of self’. ‘expanding boundaries as a female Christian counselor’ and the ‘with to live a life led by Go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