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14.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독 귀국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turned Christi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ege Adjustment

  • 75

본 연구는 성인이 되기 전에 국외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기독 귀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정에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민족 정체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S시와 P시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기독 귀국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에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과 통제성이, 사회적 지지에서는 친구 지지와 교사 지지의 하위요인들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민족 정체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논의점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ndeavor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national identity of the returned Christian students to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ege adjustment. The analysis was finaliz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taken by 210 students, enrolling in two different four–year colleges in Seoul and Pohang. The result suggested that positivism and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Support from friends and teachers also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However, positivism and self–control under resilience and friends’ and teachers’ support under social suppor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or college adjust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ended with some of specific implications that could be applied to counseling and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