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상담에 나타난 과대자기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와 기독교상담적 대안
A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the Grandiose Sense of Self in Child Analysis and its Therapeutic Model for Christian Counseling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7권 제1호
- : KCI등재
- 2016.02
- 295 - 322 (28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의 아동상담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된 아동의 과대자기감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치료적 개입의 통합적인 기독교상담적 모델을 제공하려는 데 있다. 정신분석적 아동상담은 아동이 자신의 내적 세계 놀이를 통해 충분히 표현하고 드러낼 수 있도록, 상담자가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상담 관계를 제공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아동이 가진 내적 환상은 저항의 벽이 희미해진 이런 상담 관계에서 놀이를 통해 나타나기 시작한다. 본 연구자는 임상경험을 통해 이 내적 환상이 자신의 특별한 힘과 가치를 과도하게 표현하려는 과대자기감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정신분석 발달사에서 극단적인 양상을 띠는 과대자기감의 이론과 그 치료적 개입에 주목했다. 해석과 공감으로 묘사될 수 있는 이 정신분석적 치료 개입의 극단적 양상을 최근 관계 정신분석은 옛 대상과 새로운 대상 개념을 도입하여 통합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과정신학의 “설득하시는 하나님” 개념이 이 과대자기감의 통합된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독교상담적 모델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understanding the grandiose sense of self typically observed in the therapeutic setting of play therapy with children, and providing its therapeutic model for Christian counseling. This paper is based on some example cases of child analysis in which the children’s grandiosity is distinguished. Psychoanalysts views the grandiosity differently based on their own understanding of narcissism and its therapeutic intervention. Kernberg contended that narcissism should be overcome so that the healthy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analyst and patient can be formed. However, Kohut maintained that narcissism in the analytic setting should be accepted and allowed because it is a driving force of human psychological development. Relational psychoanalysis has tried to integrate two different tradition with its own terms, “old object,” and “new object.” “Persuasive God” in the process theology can be a therapeutic model for Christian counseling to integrate two different therapeutic interventions.
Ⅰ. 들어가는 말
Ⅱ. 아동상담에 나타난 과대자기감
Ⅲ. 과대자기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
Ⅳ. 옛 대상과 새로운 대상
Ⅴ. 설득하시는 하나님: 기독교상담적 대안 모델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