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교사 부부 갈등과 극복 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Marital Conflicts of Missionary Couples and Experiences of Overcoming Conflicts
- 이유경(Lee, You Kyung)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6.02
- 263 - 293 (31 pages)
본 연구는 선교사 부부 갈등 경험과 극복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선교사 부부를 위한 돌봄의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로 5년 이상 선교사의 경험이 있는 선교사 부부 12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선교사 부부 갈등과 극복 경험에 살아 있는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해 질적 연구 가운데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교사 부부 갈등 경험요인으로 원가족의 영향으로 ‘욕구와 기대’, 부부 체계의 변화로 ‘고립과 밀착’, 이웃체계의 변화로 ‘혼돈된 경계선’, 환경체계의 변화로 ‘적응 스트레스’ 문화체계의 변화로 ‘적응 속도와 방식의 차이’로 나타났다. 또한 선교사 부부 극복 경험은 개인적, 관계적, 조직적, 영적으로 나타났으며 전 체계를 통해 부부갈등을 극복해 가고 있었다. 선교사 부부 갈등 경험의 영향으로 심리적, 육체적, 관계적, 사역적인 전반에걸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Graham의 체계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선교사 부부의 통합적 돌봄을 제안하였다. 통합적 돌봄은 사역 주기별 돌봄 모델과 협력적 돌봄 모델로 나누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nd identify the substance and the significance of marital conflicts of missionary couples and experiences of overcoming those conflicts, and to provide missionary couples with Christian counseling and ways of caring for them. For this purpose, 12 missionary couple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field experience were selected. Phenomenological method was employed among all qualitative studies to covey graphic description of overcoming difficulties arising between missionary coupl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caring methods were suggested for missionary couples. Caring for missionary couples is based on methods of Graham. Comprehensive caring is comprising of caring per mission cycle model and cooperative caring model.
Ⅰ. 서론
Ⅱ. 연구방법론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