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관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tress Coping Sty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Internet Addiction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6권 제4호
- : KCI등재
- 2015.11
- 305 - 325 (21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H대학교 신입생 중 기독학생 8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인터넷 중독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자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이용목적에 따른 인터넷 중독 수준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정보검색을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집단이 온라인 게임을 위해 사용하는 집단에 비해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인터넷 중독 수준 차이를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인 대처방식인 문제 중심적 사고, 사회 지지적 사고와 인터넷 중독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소극적 대처방식인 정서 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와 인터넷 중독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대인관계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수준 차이를 확인한 결과, 대인관계와 인터넷 중독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극적 대처방식이 대인관계를 매개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상황에서 소극적 대처방식은 대인관계에서 만족감이나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인터넷 중독으로 빠져들 수 있는 요인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tress coping sty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internet addiction.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859 samples, who were the students of the H University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regarding gender difference, the male students’ addi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ddiction level. Second, according to the internet using purposes, the group of people who use internet for the information search shows higher level of internet addiction than the group of people who use the internet for on–line gaming. Third, regarding the stress coping style, active coping style h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ernet addiction while the passive coping styl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ernet addiction. Fourth, fo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t ha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ernet addiction. Fifth, among the stress coping styles, passive coping style negatively affect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bility, which triggers internet addic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